반응형
🧾 “검사 받았는데… 이 숫자들이 뭔 뜻인지 모르겠어요”
MMPI-2(다면적인성검사)를 받고 나면 결과지에 알 수 없는 T점수, 척도 코드들이 잔뜩 적혀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높을수록 나쁜 건가요?”, “어느 점수부터 이상인 건가요?” 하고 헷갈려 하죠.
오늘은 MMPI-2 결과지를 처음 받아든 사람도 이해할 수 있도록,
가장 핵심적인 해석 포인트를 쉬운 말로 정리해드릴게요!
📌 MMPI-2란? (초간단 요약)
-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 원래 정신과 환자 선별용으로 개발 → 지금은 직무적성, 정신건강평가, 심리상담 등 다방면 활용
- 총 **567문항(또는 370문항)**을 기반으로 다양한 심리 상태를 점수화함
- 정신과, 심리상담센터, 임상심리사 등이 해석 및 설명 가능
🎯 해석의 핵심 – “T점수”부터 이해하자
구분 | 설명 |
T점수 50 | 평균적인 성향 (정상 범위) |
T점수 65 이상 | 해당 척도의 성향이 뚜렷하게 드러남 (임상적으로 주목) |
T점수 70 이상 | 명확한 심리적 특징 또는 문제 가능성 있음 |
👉 높을수록 문제라는 뜻은 아님.
예: ‘우울’ 척도가 높은 경우, 실제로는 민감하고 깊은 감정을 지닌 성향일 수 있음
🧩 MMPI-2 타당도 척도 (이 검사 믿을 수 있는가?)
MMPI-2는 검사자가 일부러 왜곡하거나 허위로 응답했는지도 잡아냅니다.
타당도 | 척도 설명 |
L (Lie) | 좋은 사람처럼 보이려는 경향 |
F (Frequency) | 비현실적으로 나쁜 쪽으로 응답함 (과장 가능성) |
K (Correction) | 방어적, 자신의 문제를 축소하려는 경향 |
TRIN/VRIN | 일관되지 않은 응답 → 신뢰도 낮음 |
👉 타당도 이상 시 해석 불가한 경우도 있음!
🧠 MMPI-2 임상 척도 (대표 10가지)
코드 | 의미 | 주의 T점수 |
Hs | 건강염려증 | 65↑: 신체화 경향 |
D | 우울성 | 65↑: 정서적 위축, 낮은 에너지 |
Hy | 히스테리 | 65↑: 스트레스를 신체 증상으로 표현 |
Pd | 반사회성 | 65↑: 규범 위반, 충동성 |
Mf | 남성성/여성성 | 해석 목적 다름 (비교용) |
Pa | 편집증 | 65↑: 불신, 피해의식 |
Pt | 강박증 | 65↑: 불안, 긴장 |
Sc | 정신분열 | 70↑: 사고 혼란 가능성 |
Ma | 조증 | 65↑: 충동, 과잉활동 |
Si | 사회적 내향성 | 65↑: 고립감, 대인 회피 |
👀 내가 받은 결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 타당도 척도 먼저 확인! → 신뢰도 체크
- T점수 기준으로 65 이상인 척도 파악
- 2~3개 척도가 동시에 높으면 종합 해석
- 항상 전문가의 해석을 병행할 것
💬 숫자에 겁먹지 말고, 내 마음을 이해하는 기회로
MMPI-2는 문제점을 찾아내는 검사라기보다,
자기 자신을 객관적으로 들여다보는 거울 같은 도구입니다.
👉 결과지를 받았다면,
그게 끝이 아니라 진짜 해석과 통찰의 시작이에요.
반응형
'심리 t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TI보다 먼저였다 – 레이먼드 캐틀의 16PF 성격 검사, 알고 있나요?” (0) | 2025.06.30 |
---|---|
🧠 K-WAIS-IV 해석법 – 지능검사 결과지, 어디부터 어떻게 봐야 할까? (2) | 2025.06.05 |
[심리검사 완전정복]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WAIS) 핵심 이해와 분석 가이드 (0) | 2025.04.12 |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감정 상태를 측정하는 심리 검사 (1) | 2024.12.15 |
Self-Compassion Scale (SCS) 자기 연민을 측정하는 심리 도구 (1) | 2024.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