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증후군 - syndrome

리마 증후군(Lima Syndrome) – 인질범의 심리 변화

by 심리검사이야기 2025. 3. 10.
반응형

리마 증후군(Lima Syndrome) – 인질범의 심리 변화


반응형

리마 증후군이란?

리마 증후군(Lima Syndrome)은 인질범이 인질에게 감정적으로 동화되면서 동정심을 느끼고, 인질을 해치거나 억류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심리적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 증후군은 "스톡홀름 증후군(Stockholm Syndrome)"과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 스톡홀름 증후군: 인질이 인질범에게 동조하는 현상
  • 리마 증후군: 인질범이 인질에게 동조하는 현상

리마 증후군이 발생하면 인질범은 인질에게 친절을 베풀거나, 심지어 자발적으로 풀어주기도 합니다.


리마 증후군의 유래

1996년 페루의 수도 리마(Lima)에서 발생한 "주페루 일본 대사관 인질 사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 사건 개요

  • 페루 반군 조직 "투팍 아마루 혁명운동(Túpac Amaru Revolutionary Movement, MRTA)" 소속 무장단체가 일본 대사관을 점거
  • 500명 이상의 인질을 억류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인질범들은 인질들에게 동정심을 가지게 됨
  • 인질들의 연령, 건강 상태, 개인 사정을 고려해 점차 풀어줌
  • 결국 인질 대부분이 풀려나고, 남은 인질을 구출하기 위한 특수 작전이 진행됨

이 사건에서 인질범들이 인질을 향한 감정적 연민을 갖게 된 현상이 "리마 증후군"으로 명명되었습니다.


리마 증후군의 원인

리마 증후군은 다양한 심리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1) 인질범의 심리 변화

도덕적 갈등 – 인질을 직접 접하면서 죄책감을 느낌
공감 형성 – 인질의 이야기(가족, 건강 문제 등)를 듣고 정서적 유대감 형성
장기 억류에 따른 피로 – 시간이 지나면서 긴장감이 감소하고, 공격성이 약해짐

🔹 2) 인질의 행동

인질이 인간적으로 다가가는 태도 – 친절한 태도, 공감적 대화 등이 인질범의 마음을 누그러뜨림
인질의 취약한 상태 – 어린이, 노약자, 환자 등 보호가 필요한 존재에 대해 연민을 느낌

🔹 3) 외부 요인

경찰·군의 개입 가능성 – 인질을 다치게 하면 상황이 악화될 것을 우려
사회적 압력 – 미디어 보도 및 대중의 감정이 작용하여 인질범이 부담감을 느낌


리마 증후군의 주요 증상

📌 1) 인질범의 태도 변화
✔ 인질에게 친절한 태도를 보이며, 기본적인 필요(음식, 물, 담요 등)를 제공
✔ 인질을 심리적으로 보호하려는 경향

📌 2) 인질 해방 결정
✔ 건강이 좋지 않은 인질, 어린이나 여성 인질부터 풀어줌
✔ 전체 인질을 점진적으로 석방하는 경향

📌 3) 인질과의 감정적 교류
✔ 인질과 개인적인 이야기를 나누며 감정적으로 연결됨
✔ 인질을 향한 공감과 동정심이 증가

📌 4) 협상의 용이성 증가
✔ 인질범이 협상에 더 유연하게 대응하며 폭력을 최소화하려는 태도를 보임


리마 증후군과 스톡홀름 증후군의 차이

  리마 증후군 (Lima Syndrome)  스톡홀름 증후군 (Stockholm Syndrome)
정의 인질범이 인질에게 동화됨 인질이 인질범에게 동화됨
감정 변화 인질범이 인질을 동정하고 해를 주기 어려워함 인질이 인질범에게 동조하고 정서적 유대감을 느낌
행동 변화 인질을 석방하거나 보호하려 함 인질이 인질범을 변호하거나 옹호함
원인 도덕적 갈등, 공감 형성, 죄책감 생존 본능, 심리적 방어 기제

리마 증후군의 실제 사례

📌 1) 1996년 페루 일본 대사관 인질 사건
✔ 14명의 무장단체원이 일본 대사관을 점거
✔ 500명 이상 인질을 억류했으나, 대부분의 인질을 점차 풀어줌
✔ 인질범들이 인질을 향한 동정심을 느끼면서 발생한 대표적인 리마 증후군 사례

📌 2) 2002년 모스크바 극장 인질 사건
✔ 체첸 반군이 850명 이상을 인질로 잡음
✔ 일부 여성 인질범이 인질들에게 음식과 담요 제공
✔ 일부 인질범이 인질과 개인적인 대화를 나누며 공감을 표현

📌 3) 2014년 시드니 카페 인질 사건
✔ 무장 괴한이 카페 손님과 직원 17명을 인질로 삼음
✔ 인질 중 일부를 먼저 석방하며, 상대적으로 온건한 태도를 보임
✔ 인질과 대화하는 과정에서 심리적 변화가 나타남


리마 증후군의 심리적 분석

리마 증후군은 인간의 공감 능력과 도덕적 갈등에서 비롯됩니다.

공감 (Empathy) – 인간은 본능적으로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동정할 수 있음
죄책감 (Guilt) – 인질범이 인질을 해치는 것에 대한 죄책감을 느낌
사회적 압박 (Social Pressure) – 인질을 보호해야 한다는 사회적 가치가 작용

🧠 심리학적으로 볼 때, 리마 증후군은 "인지 부조화(Cognitive Dissonance)" 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 인질범이 "나는 폭력을 행사해야 한다"는 생각과 "이 사람들은 무고하다"는 감정을 동시에 가지면서 심리적 갈등을 겪음
  • 이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인질들에게 친절을 베풀거나 석방하는 행동을 선택


리마 증후군의 의의와 결론

🔹 긍정적인 측면
✅ 인질의 생존 가능성을 높임
✅ 협상 과정에서 폭력적 충돌을 줄일 수 있음

🔹 부정적인 측면
❌ 인질범이 인질을 석방하는 이유가 전략적 행동일 가능성도 있음
❌ 상황이 악화될 경우 인질이 이용당할 수도 있음

리마 증후군은 인질극이나 범죄 사건에서 인간의 공감과 도덕적 갈등이 작용하는 심리적 현상입니다.

이는 단순한 범죄 심리를 넘어, 인간의 본능적 감정과 윤리가 어떻게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