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검사란?

📊 심리검사 결과 해석법 – T점수, 백분위, 소검사까지 쉽게 풀이해드립니다

by 심리검사이야기 2025. 6. 5.
반응형

📊 심리검사 결과 해석법 – T점수, 백분위, 소검사까지 쉽게 풀이해드립니다

🤔 “이 점수가 높다는 게... 좋은 거야? 나쁜 거야?”

심리검사 결과지를 받아들면
‘T: 67, 백분위: 85, 소검사 점수: 12’ 같은 숫자들이 빼곡합니다.
하지만 설명은 5분, 검색은 1시간, 이해는… 거의 포기.

이번 글에서는 MMPI, K-WAIS, BDI 등 다양한 심리검사 결과지를
가장 많이 나오는 방식대로 쉽게 해석하는 팁을 정리해드릴게요.


🧠 1. T점수란? (표준 점수)

✅ T점수 기본 개념

  • 평균 50, 표준편차 10인 정규분포 점수
  • 원점수를 단순 비교하지 않고, 표준화된 기준으로 상대적 위치를 보여줌
  • 심리검사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점수 형식
T점수  해석
50±10 평균 범위 (정상)
60~64 경계선, 성향 뚜렷
65~69 주목할 만한 성향, 심리적 경향 강함
70 이상 병리적 수준 의심, 임상적 주의 필요

예: MMPI-2에서 Pa(편집증) T=72 → 불신감, 피해의식 경향 뚜렷


📈 2. 백분위란? (Percentile Rank)

  • 동일 연령 집단 내 상대적 위치를 나타냄
  • 90 백분위 = 상위 10% 수준
  • 지능검사(K-WAIS), 학습검사, 정서검사 등에서 자주 사용
백분위 해석 예시
90 이상 매우 뛰어남 (상위 10%)
75~89 우수한 편
50~74 평균 이상
25~49 평균 이하
10~24 낮은 편
9 이하 임상적 주의 필요

✅ 백분위는 T점수와는 다르게 ‘내 위치가 몇 등인가’를 보여주는 개념


🧩 3. 소검사 점수 해석법 (특히 K-WAIS 기준)

점수 의미
13~19 우수
8~12 평균
6~7 평균 이하
5 이하 주의 필요

예: ‘숫자 외우기’ 소검사 점수가 5 → 작업기억에 어려움 있을 수 있음


🔍 해석 팁 – 점수만 보지 말고 ‘프로파일 차이’를 봐야 한다!

예시 ①

척도 T점수
우울 66
불안 58
외향성 45

→ 우울이 상대적으로 높지만 불안은 평균 → 기분 저하 중심 경향

예시 ②

소검사 점수
어휘력 14
처리속도 7

→ 인지능력은 충분하나 처리속도가 느려 현실에서 성취가 낮게 느껴질 수 있음


💡 전문가가 해석할 때 보는 포인트

  • 전체 점수보다 지표 간 격차
  • 강점과 약점의 패턴
  • 검사 중 비일관된 응답, 방어적 반응 여부
  • 검사 목적(진단, 진로, 자가이해 등)에 맞춘 해석

💬 심리검사 결과, 숫자보다 ‘맥락’이 더 중요하다

검사 결과에 적힌 숫자 하나에
너무 무겁게 받아들이지 마세요.

중요한 건 ‘나의 특징과 방향’을 알아차리는 도구로 활용하는 것,
그리고 그 해석이 전문가와 함께할 때 더 정확해진다는 것입니다.


 

반응형